이승우 (소설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승우는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1959년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태어났다. 1981년 《에리직톤의 초상》으로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기독교적 구원, 인간의 실존 문제, 언어의 붕괴 등 관념적인 주제를 다룬다. 《생의 이면》으로 대산문학상,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로 동서문학상, 《심인광고》로 이효석문학상, 〈전기수 이야기〉로 현대문학상, 《지상의 노래》로 동인문학상, 그리고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르 클레지오 등 해외 문인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신학대학교 동문 - 김두섭
김두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을 제외하고는 14번의 총선에서 낙선했으며,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활동했고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 서울신학대학교 동문 - 송해나
송해나는 2011년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2》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모델이자 방송인으로, 여러 예능과 드라마,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고, 특히 《골 때리는 그녀들》, 《나는 SOLO》 등의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2023년 SBS 연예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인천 이씨 - 이주명
이주명은 2016년 모델로 데뷔하여 2019년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2024년 서울국제영화대상 신인 여우상과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신인 연기상을 수상했다. - 인천 이씨 - 리승엽
리승엽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남로당 간부, 한국 전쟁 당시 서울시 인민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나, 월북 후 금강정치학원 사건으로 처형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삶은 한국 현대사의 이념 갈등과 권력 투쟁을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승우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승우 |
한글 표기 | 이승우 |
한자 표기 | 李承雨 |
로마자 표기 | I Seungu |
출생일 | 1959년 2월 21일 |
출생지 | 전라남도 장흥군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소설가 |
학력 | |
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대학원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
작가 활동 | |
데뷔 | 1981년 "에리직톤의 초상" |
장르 | 소설 |
주요 작품 | 인생의 이면 |
활동 시기 | 1981년 - 현재 |
기타 | |
웹사이트 | 한국문학번역원 이승우 소개 (보관된 페이지) |
2. 생애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신동리에서 태어났으며[13],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을 중퇴했다.[14] 1981년 소설 《에리직톤의 초상》이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함으로써 작품활동을 시작했다.[13] 이 작품은 요한 바오로 2세 암살 미수 사건에 충격을 받아 영감을 얻은 소설이다.[5]
이승우는 소설가 이청준의 뒤를 이어 관념적인 소설을 쓴다는 평을 받아왔다.[19] 제10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위원들은 “특히 읽는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것을 읽게 하는 형이상학적 보편성이야말로 다른 한국 소설이 지니지 못한 이승우 소설만의 득의의 영역”이라고 말했다.[13]
이승우 작가의 주요 작품으로는 《지상의 노래》, 《미궁에 대한 추측》, 《사람들은 자기 집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오래된 일기》, 《목련공원》, 《칼》 등이 있다.
이후 대산문학상(1993년, 《생의 이면》),[13] 동서문학상(2002년, 《나는 아주 오래살 것이다》),[4] 이효석문학상(2003년, 《심인광고》), 현대문학상(2006년, 〈전기수 이야기〉), 황순원문학상(2010년),[13] 동인문학상(2013년, 《지상의 노래》)[15], 이상문학상(2021년) 등을 수상했다.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소설창작을 가르치고 있다.[16][17]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더 많이 알려진 작가로,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르 클레지오는 한국 작가 중에서 노벨 문학상 수상 가능성이 높은 작가로 황석영과 함께 이승우를 언급했다.[19] 한국문학번역원 김주연 원장은 "작가 이승우씨가 지금까지 쓴 작품의 양이나 질로 볼 때 제 개인적으로는 무슨 상을 받아도 부끄러울 것이 없는 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13]
3. 경력
학력
이승우는 『에리식톤의 초상』, 『가시나무 그늘 아래서』, 『삶의 반대편』에서 기독교적 구원의 개념과 그것이 인간의 삶과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며, 천국과 지상 사이의 긴장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준다.[6] 『미궁에 대한 추측』, 『세계의 바깥으로』를 비롯한 다른 작품들은 언어의 부패와 가치 절하에 따른 환멸에 직면한다.[3]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한국 문학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객원교수로 1년간 한국에 머물면서 여러 차례 한국 작가들과 함께 북 콘서트를 열었다. 노벨상 시상식 후 기자 회견에서 그는 "한국 문학은 노벨 문학상을 받기에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말했으며, "개인적으로 이승우는 그 상을 받을 만한 한국 후보 중 한 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7]
이승우의 작품 중 장편 소설만이 영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지만, 그는 지난 30년간 많은 단편 소설집을 출판했다. 이는 작가의 역량이 주로 문예지에 발표되는 단편 소설을 통해 평가되는 한국 문단의 분위기 때문이기도 하다.[7]
4. 문학적 평가와 영향
현대소설에서 자주 나타나는 '아버지의 문제'를 자신만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으며, 아버지와 아들의 대립구도가 작품 속에 자주 나타난다.[18]
프랑스 문단과 언론에서 찬사를 받았으며, 갈리마르 출판사가 펴내는 폴리오 시리즈에 《식물들의 사생활》이 포함될 정도로 프랑스에서 지명도가 높다.[19] 프랑스에서 그의 작품이 관심을 받는 이유에 대해 “기독교적 세계관, 개인과 내면에 대한 관심, 그리고 정서에 덜 호소하는 내 문장이 그 쪽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것 같다”고 언급하였다.[19]
『에리식톤의 초상』, 『가시나무 그늘 아래서』, 『삶의 반대편』에서 기독교적 구원의 개념과 그것이 인간의 삶과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며, 천국과 지상 사이의 긴장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준다.[6] 『미궁에 대한 추측』, 『세계의 바깥으로』를 비롯한 다른 작품들은 언어의 부패와 가치 절하에 따른 환멸에 직면한다.[3]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한국 문학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객원교수로 1년간 한국에 머물면서 여러 차례 한국 작가들과 함께 북 콘서트를 열었다. 노벨상 시상식 후 기자 회견에서 “한국 문학은 노벨 문학상을 받기에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말했으며, “개인적으로 이승우는 그 상을 받을 만한 한국 후보 중 한 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7]
장편 소설만이 영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지만, 지난 30년간 많은 단편 소설집을 출판했다. 이는 작가의 역량이 주로 문예지에 발표되는 단편 소설을 통해 평가되는 한국 문단의 분위기 때문이기도 하다.[7]
초기 작품인 "엘리시톤의 초상"을 시작으로, 대표작인 "가시의 그림자", "생의 뒷면" 등의 작품은 기독교적인 구원의 문제를 현시대의 고민과 잘 연관시킨다. 그의 작품 세계는 인간의 밑바닥에 있는 원죄 의식과 그로 인한 불안, 그리고 그러한 인간들을 지켜보는 신의 존재 등이 얽혀 있다.
예술가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에도 주목하여, "미궁에 대한 추측"(1994)과 "세상 밖으로"(1990) 등의 작품에서 언어 가치의 붕괴, 타락에 대한 환멸, 그리고 이를 극복할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제시했다.
인간의 실존 문제와 신과 인간의 영원한 괴리 등 다소 무겁고 관념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인물의 내면에 대한 정밀한 묘사와 유려한 문체를 통해 그 관념성을 극복하고 문학·예술의 존재론으로까지 관심 영역을 넓히고 있다.
5. 수상 경력
연도 상 이름 1981년 한국문학 신인상[13] 1993년 제1회 대산문학상[13] 2002년 제15회 동서문학상[13] 2003년 제4회 이효석문학상[13] 2007년 제52회 현대문학상[13] 2010년 제10회 황순원문학상[13] 2013년 제44회 동인문학상[15] 2021년 제44회 이상문학상
6. 작품 목록
이승우 작가의 출판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6. 1. 장편 소설
6. 2. 소설집
6. 3. 번역 작품
번역 작품 | 출판사 | 출판 연도 |
---|---|---|
The Reverse Side of Life영어 | Horlemann | 1996 |
The Reverse Side of Life영어 | Peter Owen Publishers | 2005 |
La vida secreta de las plantases | Ermitano | 2010 |
植物たちの私生活일본어 | 藤原書店일본어 | 2012 |
Тайная жизнь растенийru | Hyperion | 2013 |
Le Jardin des Magnolias프랑스어 | 아시아출판사 | 2013 |
Ici, comme ailleurs프랑스어 | 갈리마르 출판사 | 2013 |
[http://kwiatyorientu.com/ksiazki/prywatne-zycie-roslin-lee-seung-u/ Prywatne życie roślinpl] | Kwiaty Orientu | 2016 |
에리식톤의 초상한국어 (Erysichton-ui chosang) | 1981 | |
가시나무 그늘한국어 | ||
따뜻한 비한국어 (Ttatteuthan bi) | ||
황금 가면한국어 (Hwanggeumgamyeon) | ||
생의 이면한국어 (Saeng-ui imyeon) | 1992 | |
식물들의 사생활한국어 | 2000 | |
오래된 일기한국어 | 2008 | |
정오의 시선한국어 | 2009 | |
땅의 노래한국어 | 2012 | |
『사해』 | 김훈아 옮김, 트랜스뷰 | 2010년 12월 |
『생의 이면』 | 김순희 옮김, 후지와라 서점 | 2011년 8월 |
『식물들의 사생활』 | 김순희 옮김, 후지와라 서점 | 2012년 5월 |
『한낮의 시선』 | 김순희 옮김, 이와나미 서점 | 2013년 2월 |
『홍콩 박』 | 김순희 옮김, 고단샤 | 2015년 10월 |
참조
[1]
웹사이트
Lee Seung-U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
서적
The Globalizing World and the Human Community, The Seoul International Forum of Literature 2011
The Seoul International Forum of Literature
[3]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Author Introductions
http://sso.klti.or.k[...]
[4]
웹사이트
Peter Owens Publishing
http://www.peterowen[...]
2011-06-05
[5]
웹사이트
Lee Seung-u, a Korean Author Beloved in France
http://www.list.or.k[...]
[6]
웹사이트
Naver-Modern Korean Literature Dictionary
http://terms.naver.c[...]
[7]
웹사이트
LIST Magazine
https://web.archive.[...]
2014-01-27
[8]
웹사이트
The Reverse Side of Life
https://www.amazon.c[...]
[9]
웹사이트
Magnolia (Bi-lingual Edition):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www.amazon.c[...]
[10]
웹사이트
김철수
http://people.search[...]
2014-00-00 #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시 처리
[11]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00-00 #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시 처리
[12]
웹사이트
조선일보 인물검색
http://db.chosun.com[...]
[13]
뉴스
제10회 황순원 문학상에 소설가 이승우씨 선정
http://www.yestv.co.[...]
장흥신문
2010-10-05
[14]
웹사이트
네이버 인물검색 이승우
http://people.search[...]
[15]
뉴스
2013 동인문학상 수상 '지상의 노래' 이승우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3-10-16
[16]
뉴스
이승우 소설가,황순원문학상 장석남 시인, 미당문학상 수상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0-09-20
[17]
웹사이트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소개
http://www.chosun.ac[...]
[18]
뉴스
이승우 소설 속엔 강철 소리 나는 생각의 문체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12-20
[19]
뉴스
[박해현 기자의 '우리시대 작가 열전'] 소설가 이승우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9-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